Git, Github

[Github] Push하기

FRDYtheme 2022. 9. 19. 13:04

git을 이용해 버전 관리용 로그를 남겼다면 git내에서 github로 push할 수 있는데

* github를 사용하려면 유저 네임을 github 네임과 동일하게 작성해야한다.

로컬저장소가 준비되었다면 이 로컬저장소를 연결할 온라인저장소(Github)를 만들어야한다.

 

Github 아이디를 만들고 your repositories로 들어가서 new를 눌러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만든다.

레포지토리 이름을 정하고 간단한 설명을 쓴 다음 온라인저장소(레포지토리)를 만들면

git과 연결할 명령어들이 나온다.

...or create a new repository on the command line 박스 안의 커맨드는

기존에 git으로 초기화 작업을 한 폴더가 없을 때 즉, 로컬 저장소를 아예 처음부터 만들 때

최초 커밋을 위해 README.md 파일 생성 및 커밋 과정을 포함해 진행하는 명령어이다.

 

기존에 git으로 초기화한 로컬 저장소를 레포지토리와 연결하려면 빨간 박스 안에 명령어를 쓰면 된다.

참고로 브랜치 이름이 이미 main이라면 가운데 git branch -M main 명령어는 생략해도 됨.

 

git remote add origin 'Github 레포지토리 주소' 를 입력한 후에

git push -u origin main을 입력하면 온라인 저장소인 레포지토리에 로컬 저장소가 연결되며 백업이 이루어진다.

 

이 작업을 끝내면 폴더 내 파일의 변경 사항이 있을 때 git add와 git commit으로 로컬 저장소 내에서 커밋을 먼저 하고

git push : Github 레파지토리에 푸쉬

명령어를 이용해 온라인 레파지토리에 백업하는 순서로 작업하면 된다.